생각하는나무 “초여름의 싱싱한 일상” 글 문태준 글
비가 다녀가더니 벌써 초여름의 기운이 왕성하다. 텃밭의 작물은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. 고랑과 이랑은 어느새 먼 바다처럼 푸른빛이 출렁인다. 풀도 우거졌다. 방울토마토의 위쪽 순을 지지대에 한 번 더 묶어주었다. 오이도 곧 딸 것 같다. 처음 열린 오이를 발견하고선 첫 수확을 할 아침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었는데, 아침에 정작 마주한 것은 이빨 자국이 나 있는, 반쯤 잘린 오이였다. 누군가 밤사이에 오이를 갉아먹고 간 것이었다. 들고양이가 그렇게 해놓은 게 아닌가 짐작할 뿐이었다. 동네에는 초당 옥수수를 따는 집이 있다. 초당 옥수수는 이즈음에 즐기는 별미다. 옆 동네에 사는 지인이 고향 집에서 참외를 보내왔다며 내 집에 갖고 왔다. 돌아가는 길에 산딸기 잼을 한 통 손에 쥐여 보냈다. 지인으로부터 받은 참외는 내 옆집과 또 나눴다. 그러자 이웃 사람은 내 집에 새콤한 매실을 두고 갔다. 매일매일 해가 질 무렵에 생각하길,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은 하루를 살았구나, 하는데 또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은 일들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하루를 살고 있다.
이하석 시인은 한 산문에서 “삶은 때로 자연과 만나 들뜨거나 가라앉는다”면서 “내가 자연과 친할 때, 또는 ‘우리’가 서로 받아들여질 때 나는 새로 호명된다”고 썼다. 초여름의 자연은 설렘과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. 일례로 재작년에 5일장에 가서 로즈메리를 사서 마당 한쪽에 심었는데 그동안은 자라는 것이 잘 느껴지지 않더니 이 초여름에 이르러선 부쩍 그 품과 높이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. 로즈메리의 잎에 손이 살짝 닿기만 해도 손으로 다 움켜쥐지 못할 정도로 많은, 움직이는 향기를 얻을 수 있다.
열흘 남짓 후면 장마가 시작된다고 하니 미리 해야 할 일도 적지 않다. 자라는 풀을 한 차례 뽑거나 낫으로 베야 한다. 이 일을 하지 않고서 장마를 보내고 나면 그 이후로는 풀을 감당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. 떠올려보면 아버지께서 유월의 날들에 논둑이나 밭둑에서 풀을 베 지게로 풀 짐을 지고 집으로 오셨는데 아마도 이런 이유가 아니었을까 싶다. 장화와 비옷도 하나 새로 살 생각이다. 농기구의 부러진 나무 손잡이도 갈아 끼워야겠다. 작년에 해바라기들이 섰던 터에 씨앗이 떨어져 해바라기가 크고 있는데, 다닥다닥 붙어 자라는 어린 해바라기를 떼어내 여기저기에 옮겨 심는 일도 더는 미룰 수 없을 것 같다. 노랗고 둥글고 건강한 해바라기를 팔월에 보기 위해선 어쩌면 지금이 해바라기를 옮겨 심어 가꿀 마지막 기회일 수 있을 것이다.
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하루는 없을 테다. 그리고 어떤 일은 일어나 입가에 잔잔한 미소가 흐르게 한다.
장마가 와서 여러 날을 머물겠지만, 장마 속에서도 은하(銀河) 같은 수국은 피고, 그 장마가 지나가고 나면 반딧불이가 밤하늘을 날아다닐 것이다. 나는 큰 그릇을 들고 싱싱한 아침 햇살에 감사해 하며 텃밭에서 붉은 방울토마토를 따고, 오이를 딸 것이다. 막 딴 개복숭아를 물에 씻어 한 입 베어 물 수도 있을 것이다. 풀을 뽑으며 목 수건으로 연신 땀을 훔칠 것이다. 그리고 택배 물건을 배달하는 분과 우편물을 배달하는 분이 비닐로 감싸놓고, 작은 돌로 눌러 놓고 간 산뜻한 여름의 소식을 두 손으로 감격해 하며 받아들 것이다.